|
|
|
글분류
/
낱말연습
/ 우리말 |
|
|
|
|
|
제목 |
유산가
|
조회수 |
3524 |
비고 |
|
실행수 |
3493 |
프로그램 |
낱말연습
(한국어)
|
추천수 |
9 |
등록자 |
ab860905
(김가람) |
스크랩수 |
1111 |
등록일 |
2013/11/14 15:27:14 |
|
|
자연 경관을 바라보는 화자의 흥겨움을 잘 드러난 작품이다.서울을 중심으로 불려졌던 12잡가 중의 하나인 이 작품은 구비 전승되어 오다가 19세기 후반에 박춘경이란 사람에 의해 개작되었는데 이는 하층계급의 의식이 반영된 노래이다. 삶에 대한 낙천적 태도와 자연을 통해 삶의 활력을 얻었던 선조들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특히 폭포수의 장관을 묘사한 대목은 의성어와 의태어의 적절한 사용으로 대상을 잘 묘사해 낸 절창 대목이다. 유산가의 율격은 4음보격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6음보격의 파격행이 3개나 드러나고 있다. 또한 음보들의 음량률도 5음절 이상의 음절이 하나의 음보로 존재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 파격적이다. 이러한 유산가의 심각한 율격적 파격은 곧 유산가의 노래말 형식이 그만큼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율격의 자유분방함은 의성어와 의태어의 생동하는 사용에 힘입어 강호 자연의 분방하고도 격정적인 세계를 생생하게 부각시켜준다. 율격 및 어휘 형식의 분방함과 격정은 내용 면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즉 유산가의 자연 예찬은 순수한 서정을 노래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산가의 자연 예찬적 서정은 이념은 물론이거니와 현실, 가령 신분 갈등과 생존경쟁적 일상과 관련되는 하층 서민 특유의 정서와 의식마저도 배제된 채, 오직 현실과 격리된 자연속의 몰아적 유흥만 토로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과 형식을 통해 뒷받침되는 유산가의 분방하고 격정적인 유흥이야말로, 유산가를 전통적인 사대부시가나 서민시가와 명확하게 구분하는 특징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점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인가. 그 이유는 잡가의 존재 기반, 즉 담당층의 신분과 생활토대, 노래의 유통과정과 의식 등이 사대부는 물론이거니와 전통적 서민 층의 핵심계층을 구성하는 농민의 경우에 비해서도 색다른 양상을 지니고 있다는 데에 있다. 먼저 잡가의 생산 및 소비층은 농업이 아닌 상공업과 임노동 등으로 생활하는 집단이며, 신분적으로 비록여전히 서민층임에도 불구하고 중세적 토지와 신분관계 하에 놓인 전통적 농민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근대적인 토대와 경제적 인간관계를 지향해가는 도시인이다. 주거공간도 당연히 지역적으로 폐쇄된 농촌이 아니라 초지역적, 초신분적인 대규모의 인구가 교류, 밀집해가는 도시이다. 또한 잡가의 가창 목적도 농민들의 노래와 같이 생활상의 필요가 아니라 일종의 상업적 필요에 있다. 이른바 가창층인 삼패와 같은 삼류급의 유녀층, 남성 소리패, 사당패 등 유랑연예집단 등의 혹은 반적문적 직업 가수집단들의 노래가 잡가인 것이다.
|
|
|
|
|
sunwoohan05 |
|
| 2017/03/30 |
|
|
|
|
|
|
|
|
|
|
|
|
|
|